2024년 1월 27일, 서울시는 전국 최초의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를 선보인다고 합니다. 이 카드는 단 한 번의 요금 충전으로 30일 동안 지하철, 버스, 그리고 따릉이(공공자전거)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 준다고 합니다.대중교통의 이용률을 높이고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목적이라고 합니다.
일단 1월 27일 ~ 6월 30일 까지 시범 사업을 한다고 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입니다. 기존의 정기권과 달리 횟수 제한 없이 저렴한 가격으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카드는 지하철+버스 (62,000원)과 지하철+버스+따릉이(65,000원) 두 종류로 출시됩니다. 기존에 따릉이를 많이 이용하던 분들은 기존 1시간권을 30일 이용하는 금액이 5,000원이니 더 저렴한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겠네요.
기후동행카드는 2024년 1월 23일부터 판매를 시작하며, 1월 27일 첫 차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카드는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운영하는 1~8호선 역사 고객안전실 또는 9호선 역사 내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 카드는 서울지역 내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안타깝지만 서울시에서 시작하는것으로 서울 일부가 포함된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는 이용에서 제외됩니다. 수도권까지 다 되면 좋을텐데 빠른 협의를 통해 실제 사업때는 전체가 다 가능하면 좋겠네요.
만약 3호선 양재역(집) - 3호선 종로3가역(회사) 로 출퇴근한다고 하면 한달 20일 기준 왕복 (1,500 * 2) * 20 = 60,000원으로 기후동행카드보다 일반 카드를 이용하는것이 조금 더 쌉니다. (물론 무제한 탈 수 있으니 그래도 기후동행카드가 이득이긴 합니다.)
그러나 거리가 20km 가 넘고 버스를 환승한다던가 한다면 금액이 기후동행카드 금액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것이 더 좋습니다. 그러나 출발 혹은 도착지가 기후동행카드 범위 밖인 경우는 이용할 수가 없으니 이건 어쩔수가 없네요. 가능하면 많이 연계되는 수도권까지 하면 좋을텐데 협의가 쉽지가 않나보네요. 꼭 되길 바래봅니다.
* 서울 교통 요금은 거리비례제로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저는 아직 일부 재택을 하고 있기때문에 아직은 구매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만약 재택이 없어지고 상시 출근으로 바뀌면 구매할 생각이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상세 이용방법은 서울시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news.seoul.go.kr/traffic/archives/510963)
갤럭시s24+를 위해 구매한 유용한 악세서리 (0) | 2024.01.29 |
---|---|
요즘 핫한 갤럭시s24+ 언박싱~~~ (1) | 2024.01.27 |
뉴발란스 991 워시드 그레이 (2) | 2023.11.20 |
비운의 주인공 앤퍼니 하더웨이의 시그니처 신발 에어 폼포짓원 (0) | 2023.04.06 |
조던1로우 골프 노블그린 과 힌끈 (0) | 2023.02.28 |